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업가치평가 이론17

13. 추정재무제표 작성순서 및 방법 과거 분석이 끝나면 이 내용을 바탕으로 추정재무제표를 작성합니다. 과거실적 분석을 통해 기업의 핵심 성장 동인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미래를 예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철저한 과거분석을 통해야만 신뢰할 수 있는 추정재무제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추정재무제표의 작성 순서 매출액 추정 ⇨ 매출원가 추정 ⇨ 판매관리비(판관비) 추정 ⇨ 영업 외 비용 추정 ⇨ 영업외 수익 추정 ⇨ 법인세 추정 ⇨ 당기순이익 추정 ⇨ 운전자본 추정 ⇨ CAPEX(Capital Expenditures, 자본적 지출) 추정 ⇨ 감가상각비 추정 ⇨ 차입금 추정 ⇨ 이자비용 추정 ⇨ 자본 추정 ⇨ 영업현금흐름 추정 ⇨ 투자활동의 현금흐름 추정 ⇨ 재무활동의 현금흐름 추정 ⇨ 배당금 추정 ⇨ 기말현금 추정 ⇨ 3대 재무제표 작성 완료.. 2023. 5. 5.
12. 절대적인 기업가치 평가 방법, 현금흐름할인(DCF)모형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상대가치 평가와 절대가치 평가가 있습니다. 상대가치 평가는 PER, EV/EBITDA, PBR 등이 주요 방법입니다. 반면 절대가치 평가는 기업이 창출하는 수익을 바탕으로 평가합니다. 절대가치 평가 방법 중 하나인 배당성장 모형을 앞에서 살펴봤었는데요, 앞에서 주식의 가치는 주주가 그 주식을 보유하면서 얻을 수 있는 현금흐름이라고 가정하였습니다. 주주가 주식을 보유하면서 얻을 수 있는 현금 흐름은 배당이 유일하기 때문에 배당금의 현재가치로 주식가치를 평가했습니다. 즉 절대가치 평가방법의 다른 하나는 현금흐름할인 모형입니다. 이는 기업이 창출하는 모든 현금을 바탕으로 하여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CF(Discounted Cash Fl.. 2023. 5. 2.
11. 실적 분석을 위한 다양한 지표(2) - 안정성 지표 1. 안정성 지표 과거실적 분석에 있어 성장과 수익도 중요하지만 기업 운영이 얼마나 안정적인지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기업이 얼마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 갑작스러운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유동성 문제를 대처하거나 견딜 수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또한 채권자와 주주로부터의 이자율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 지표는 경기가 좋은 시기에는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으나 불경기나 경기 수축기에 그 중요성이 드러나게 됩니다. (1) 당좌비율(quick ratio) = 당좌자산 / 유동부채 당좌자산은 기업이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보통 현금∙예금∙매출채권, 시장성 있는 유가증권 등 기업이 초과 현금을 보유하는 지표입니다. 유동부채는 1년 이내에.. 2023. 5. 1.
10. 실적 분석을 위한 다양한 지표(1) - 성장성 지표, 효율성 지표 과거의 실적을 분석하기 위해 수익성 지표를 많이 활용하지만 성장성, 안정성, 효율성 등 다양한 지표를 함께 활용합니다. 기업이 수익을 많이 내더라도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지 못하면 높은 가치를 평가받기 힘듭니다. 기업의 규모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야 규모의 경제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성장성이 높은 기업은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게 됩니다. 어떤 배경, 어떤 강점으로 성장해 왔는지를 확인해 보고 앞으로의 성장성을 판단합니다. 1. 성장성 지표 (1) 매출액 성장률 =(당기매출액 - 전기매출액) / 전기매출액 매출액 성장률, 매출액 증가율은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비율입니다. 기업의 규모, 기업의 외형 성장은 기업의 원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기업의 원가는 크게 고정비와 변동비로.. 2023. 5. 1.
반응형